[메디컬투데이=최민석 기자] 치아 건강은 전 연령대에서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에는 특히 사랑니 관련 문제가 잇따라 보도되며 주목을 받고 있다. 사랑니는 단순히 통증만의 문제가 아니라 잇몸질환이나 치열 불균형, 나아가 구강 구조 전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조기 진단과 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관리되지 않는 사랑니가 구강 건강을 위협하는 ‘잠재적 위험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통증이 없다는 이유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라고 지적한다.
사랑니는 만 17세에서 25세 사이, 치아 맹출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나타난다. 다른 어금니와 달리 턱뼈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라는 경우가 많아 비정상적인 각도로 자라거나 매복되는 사례가 흔하다. 이처럼 자리가 부족한 상태에서 자란 사랑니는 주변 잇몸을 자극하며 염증을 일으키거나, 옆 치아를 압박해 통증과 구강내 환경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사랑니가 제대로 나지 않아 치아 일부만 드러나면 음식물이 끼기 쉬워지고 세균 번식의 온상이 되어 충치와 잇몸질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문제는 통증이 없는 경우에는 방심하기 쉽다는 점이다.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해 발견이 늦어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세균 증식이 가속화되어 잇몸뼈 흡수나 구취, 반복적인 잇몸 붓기, 심한 경우 낭종 형성까지 진행될 수 있다. 일부 환자들은 사랑니가 잇몸 속에 묻혀 겉으로 보이지 않아 X-ray나 CT 촬영 없이는 존재 여부조차 파악하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정기적인 치과 검진은 사랑니 관리에 있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사랑니 방치가 치열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치아 교정 치료를 계획하는 환자의 경우, 공간이 부족한 턱뼈의 사랑니가 치아 배열을 방해해 치료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옆으로 누운 형태의 사랑니는 인접 치아 뿌리를 지속적으로 압박해 치아의 흡수를 일으키거나, 그 앞치아의 충치를 유발해 장기적으로 치열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결국 단순히 사랑니 한두 개의 문제가 아니라 구강 구조 전체의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랑니 발치는 단순한 시술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고난도의 술기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하악 사랑니는 혈관이 밀집한 아래턱신경과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위험성을 동반하므로 발치 전 3D CT 촬영을 통해 신경과 치아의 위치를 정밀하게 확인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발치 난이도가 높은 경우에는 경험이 풍부한 치과 전문의에게 시술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사랑니 발치 후 관리 또한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발치 부위는 세균 감염 위험이 크기 때문에 초기 회복 단계에서는 흡연이나 음주를 피하고, 자극적인 음식 섭취를 자제해야 한다. 또한 얼음찜질을 통한 부기 완화, 처방 약 복용, 빨대를 이용한 음료 섭취 금지 등이 권장된다. 이러한 관리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으면 건성 치조염과 같은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랑니는 단순히 불편한 치아가 아니라 구강 건강 전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관리되지 않는 상태서 방치할 경우 잇몸질환이나 치열 불균형 같은 장기적인 문제로 확대되기 쉽다. 따라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해 X-ray 검사를 통해 사랑니의 위치와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방적 차원에서라도 조기 검진을 통해 위험성을 미리 차단하는 것이 최선이다.
감동플란트치과 박인수 대표원장은 “사랑니는 증상이 없다고 해서 안전하다고 단정할 수 없는 치아이자, 시간이 지날수록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치아다. 특히 방치했을 때는 잇몸질환, 인접 치아 손상, 치열 불균형 등 다양한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환자 개인의 구강 구조와 사랑니 위치, 매복 여부를 정밀 진단을 통해 확인하고, 필요 시 적절한 시기에 발치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사랑니 치료는 단순한 발치가 아니라 구강 건강 전반을 지키기 위한 예방적 조치라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