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요즘뜨는] 추석 특집! 추석의 의미와 유래, 음식, 풍습을 알아보자

쇼앤 쇼앤 조회수  

추석에 보내기 좋은 짤 (출처 : 넷마블)
추석에 보내기 좋은 짤 (출처 : 넷마블)

어느덧 모두가 기다리는 민족 대명절 추석이 찾아왔다. 오랜만에 가족과 함께하는 귀성길, 풍성한 한가위 음식을 나누는 시간, 그리고 넉넉한 보름달처럼 따뜻한 정을 나누는 순간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이렇게 모두가 즐거워하는 추석, 그 뿌리와 의미는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보름달처럼 풍성한 한가위 되세요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보름달처럼 풍성한 한가위 되세요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추석의 의미와 유래

추석은 음력 8월 15일, 가을걷이가 끝난 뒤 풍요와 감사의 마음을 나누는 날이다. 고대 농경 사회에서는 한 해의 수확을 기원하고 풍년을 자축하는 제의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 ‘한가위’라는 이름은 ‘가운데 큰 날’이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예로부터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속담이 전해질 만큼 넉넉함과 풍요의 상징이기도 하다.

추석에 빠질 수 없는 송편
추석에 빠질 수 없는 송편

추석 음식

추석을 대표하는 음식은 단연 송편이다. 반달 모양의 송편은 깨, 콩, 밤, 참깨 등 다양한 소를 넣어 찌는데, 가족이 함께 빚으며 웃음을 나누는 과정 자체가 큰 의미를 가진다. 송편의 반달 모양은 차츰차츰 차오르는 달처럼 희망과 번영을 뜻한다. 이외에도 각 가정에서는 토란국, 잡채, 전, 과일 등을 준비하며 차례상을 차리고, 맛있는 음식을 나누며 가족애를 다진다.

아직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윷놀이
아직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윷놀이

추석 풍습과 놀이

추석은 단순히 음식을 나누는 날을 넘어, 다양한 풍습과 놀이가 함께하는 전통 명절이다. 성묘와 벌초로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고, 달맞이를 하며 소원을 비는 풍습이 이어져 왔다. 또한 씨름, 줄다리기, 강강술래 같은 민속놀이는 공동체의 화합과 즐거움을 더했다. 오늘날에도 윷놀이와 같은 놀이가 여전히 사랑받고 있으며, 도심 속에서도 작은 문화 행사들이 열려 명절의 즐거움을 이어간다.

올해 추석, 단순히 긴 연휴를 즐기는 시간을 넘어, 오랜 세월 이어져 온 추석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며 가족과 함께 따뜻한 추억을 만들어보길 바란다.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