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듣는 순간 정 떨어지는 말버릇 TOP4

성장곰 성장곰 조회수  

말은 습관이고, 습관은 결국 그 사람의 품격을 드러낸다. 같은 말이라도 어떤 표현을 자주 쓰느냐에 따라 호감이 쌓이기도 하고 반대로 정이 떨어지기도 한다.

특히 무심코 내뱉는 말버릇은 상대의 마음을 닫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다. 사람들이 듣는 순간 마음이 싸늘해지는 말버릇에는 무엇이 있을까?

1. “내가 다 옳아” 식의 고집스러운 말투

상대의 의견은 전혀 듣지 않고 자신이 정답이라고 단정 짓는 태도는 가장 큰 피로감을 준다. 대화를 나눈다는 의미가 사라지고 결국 일방통행이 된다.

이런 말버릇은 상대에게 존중받지 못한다는 느낌을 남긴다.

2. “에이, 뭘 그런 걸” 하고 은근히 무시하는 말

칭찬을 받거나 진심 어린 이야기를 들어도 대수롭지 않게 치부하는 말버릇은 관계를 멀어지게 만든다. 듣는 사람은 내 마음이 가볍게 취급당했다는 생각이 든다.

작은 말 하나가 상대의 자존심을 건드린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나 때는 말이야”로 시작하는 비교 습관

세대와 상황이 다른데도 과거의 잣대로 현재를 재단하는 말은 공감을 얻지 못한다. 오히려 상대를 작게 만들고, 자기 우월감만 드러내는 결과를 낳는다.

경험을 나누려면 강요가 아니라 배려와 겸손이 필요하다.

4. “어차피 안 돼”라는 부정적인 단정

시도해보기도 전에 실패를 못 박는 말버릇은 의욕과 에너지를 앗아간다. 듣는 사람은 내 열정이 무시당한다는 기분을 받게 된다.

부정적인 말버릇은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의 분위기까지 무겁게 만든다.

듣는 순간 정 떨어지는 말버릇은 결국 상대를 존중하지 않는 태도에서 나온다. 고집, 무시, 비교, 부정은 대화를 막고 마음을 닫게 한다.

말은 습관이지만 동시에 관계의 온도를 바꾸는 힘이 있다. 좋은 관계를 원한다면 먼저 말버릇을 돌아봐야 한다.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