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실종 신고 550명인데” 무려 80여명 안전 확인도 못 한다는 ‘이 나라’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조회수  


“실종 신고 550명인데” 무려 80여명 안전 확인도 못 한다는 ‘이 나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실종 신고가 급증하면서 외교 당국이 비상에 걸렸다. 외교부는 지난해부터 올해 8월까지 현지에서 접수된 실종 신고가 총 550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중 80여 명은 여전히 행방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다. 단순 실종이 아닌 감금·강제 노동·보이스피싱 조직 연루 등 범죄 피해 사례가 상당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상황의 심각성을 고려해 여행경보 상향을 검토 중이다.


“550명 중 80명 아직 확인 안 돼”

14일 외교부는 서울 종로구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해 접수된 실종·감금 피해 신고가 220건, 올해 8월 기준 330건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2024년 건의 약 80%는 종결됐으나, 80여 명의 신원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종결 처리란 현지 경찰에 의한 체포나 구조, 자력 탈출, 귀국, 또는 가족과의 연락 재개 등 안전이 확인된 경우를 의미한다. 경찰청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캄보디아 실종·감금 신고는 143건이었고, 그중 52건은 여전히 미제 상태다.


정부, 합동 대응팀 긴급 파견

외교부는 캄보디아 내 실종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 차원의 합동 대응팀을 꾸리기로 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단장을 맡고, 경찰청과 국정원, 법무부 등 관련 부처가 참여한다. 이들은 현지 공관과 협력해 실종자 수색, 범죄 조직 추적, 구속자 송환 등을 전담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피해자 보호와 가담자 처벌을 병행하겠다”며 “특히 해외취업을 미끼로 한 불법 리크루팅 광고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차단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치소 수감자 송환도 추진 중

외교부에 따르면, 캄보디아 구치소에는 현재 60여 명의 한국인이 수감돼 있다. 이들은 대부분 온라인 사기나 피싱 조직에 연루돼 현지 단속 과정에서 체포된 경우다. 지난 7월과 9월 두 차례의 단속으로 총 90명이 검거됐으며, 일부는 이미 귀국한 상태다. 정부는 캄보디아 당국과 협력해 남은 수감자의 신속한 송환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외교부는 “경찰청과 긴밀히 협의해 귀국 후 국내 수사와 보호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지 상황, 여행자도 예외 아니다

외교부는 이미 11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의 여행경보를 기존 2단계(여행자제)에서 2.5단계(특별여행주의보)로 격상했다. 현지에서는 보이스피싱 콜센터, 불법 온라인 도박, 강제노동 등 조직적 범죄가 성행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 근로자들이 감금되거나 실종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전문가들은 “단기 아르바이트, 통역, IT 관련 해외 채용 공고 등으로 접근하는 피싱형 구인광고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핵심 정리

1 지난해부터 올해 8월까지 캄보디아 내 한국인 실종 신고 550건이 접수됐다.
2 이 중 80여 명은 여전히 행방이 확인되지 않아 수색 중이다.
3 정부는 외교부·경찰청·국정원 합동 대응팀을 파견해 조사에 착수했다.
4 구치소 수감 60여 명의 송환 절차도 진행 중이다.
5 외교부는 캄보디아 여행경보 추가 격상을 검토하며 현지 체류자 안전 확보에 나섰다.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