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일본의 무시에도 굴하지 않고” 10년간 개발해서 세계 1등한 ‘이 기술’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조회수  


“일본의 무시에도 굴하지 않고” 10년간 개발해서 세계 1등한 ‘이 기술’

일본이 지배하던 시대, “한국은 안 된다”

1980년대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은 전적으로 일본의 손에 있었다. 히타치, 도시바, NEC 등 전자 대기업들이 메모리 칩 분야를 독점하며 세계 상위 10대 기업 중 6개를 일본이 차지했다. 당시 일본은 기술 격차를 무기로 한국의 반도체 산업을 노골적으로 무시했다. 전문가들 역시 “한국은 최소 10년 이상 뒤처져 있다”고 평가했다. ‘메모리는 일본’이라는 인식이 굳건했던 시대, 한국의 도전은 무모한 시도로 여겨졌다.


불가능 속에서 시작된 도전

하지만 한국은 물러서지 않았다. 1983년, 삼성전자가 반도체 생산 라인을 구축하며 본격적인 도전에 나섰다. 기술력은 부족했지만 의지는 확고했다. 삼성은 당시 일본이 절대 우위를 점하고 있던 D램 분야에 과감히 도전하며 연구개발에 전사적 투자를 단행했다. 모방이 아닌 ‘독자 기술 확보’로 방향을 정하고, 개발 주기를 단축하며 인재를 집중 투입했다. 기술적 격차를 좁히기 위한 한국의 10년은 곧 ‘불가능을 향한 실험’이자, 국가적 승부였다.


세상을 바꾼 1992년, 일본을 추월하다

전세가 뒤집힌 순간은 1992년이었다. 삼성전자가 일본 기업조차 실패한 초대용량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것이다.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의 주목이 한국으로 쏠렸다. 이어 1994년에는 더 진화한 고용량 메모리를 내놓으며 기술력과 생산 능력 모두에서 일본을 압도하기 시작했다. 1996년 또 다른 세대의 칩을 잇달아 선보이면서 ‘한국은 일본의 추격자’라는 인식은 사라지고 ‘새로운 시장의 주도자’라는 평가가 자리잡았다.


10년 만의 세계 1위, 구조가 바뀌다

삼성전자는 1993년, 마침내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1위에 올랐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던 일이었다. 일본 대기업들이 차지하던 상위권은 서서히 무너졌고,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상위 10대 반도체 기업 중 일본의 이름은 절반 이하로 줄었다. 반면 한국은 메모리 산업 전반을 장악하며 ‘기술 추격국’에서 ‘기술 선도국’으로 완전히 체질을 바꿨다.


세계를 이끄는 한국 반도체의 위상

삼성전자는 그 후 21년 이상 세계 메모리 시장 1위를 지켰다. SK하이닉스 등 다른 한국 기업들도 성장하면서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70% 이상을 한국이 점유하게 됐다. 이는 단순한 기업의 성과가 아니라 국가 경쟁력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한때 일본의 기술에 의존하던 한국이 이제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이 되었고, 미국·유럽·중국 모두가 한국의 기술력에 의존하는 시대가 열렸다.


핵심 정리

1 일본이 독점하던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은 ‘불가능한 도전’에 나섰다.
2 삼성전자는 1983년 반도체 생산 라인을 구축하며 연구개발에 전념했다.
3 1992년 세계 최초로 초대용량 D램을 개발하며 일본을 추월했다.
4 1993년 세계 1위를 차지한 이후 21년 이상 메모리 시장을 주도했다.
5 한국 반도체 산업은 지금도 세계 기술 혁신의 중심에서 산업 구조를 이끌고 있다.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