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성과급처럼” 계열사 13곳 뭉쳐서 개선 요구한 한국의 이 ‘기업’

삼성 13개 계열사 노조가 한목소리…성과급 제도 ‘SK하이닉스식’으로 개선 요구
삼성그룹노동조합연대, 성과급 개선 촉구
삼성 13개 계열사 연합 노조인 ‘삼성그룹노동조합연대’가 성과급 제도의 전면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30일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 노조는 “성과급 제도가 투명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바뀔 때까지 끝까지 투쟁하겠다”며 “합리적인 보상은 노동자의 기본 권리이자 삼성이 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 사례 제시하며 상한 폐지 요구
노조는 특히 ‘투명한 성과급 제도’의 사례로 SK하이닉스를 언급했다. SK하이닉스 노사는 올해 교섭에서 성과급 제도 중 하나인 초과이익분배금(PS)의 상한선을 폐지하고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으로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삼성노조연대는 이처럼 영업이익 기준으로 상한 없이 지급하는 방식을 삼성이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행 EVA 방식 문제 지적
현재 삼성전자와 계열사들은 연간 영업이익을 토대로 한 초과이익성과급(OPI·옛 PS)에 EVA(Economic Value Added·경제적 부가가치) 방식을 산정 기준으로 삼고 있다. EVA는 영업이익에서 자본비용(법인세·투자금 등)을 제외한 수치이기 때문에 영업이익이 크더라도 비용이 많으면 낮게 산출될 수 있다. 노조는 이런 계산 방식이 성과급의 예측 가능성과 공정성을 떨어뜨린다고 지적했다.

노조 “성과급 산정 기준 투명화” 강조
오상훈 삼성노조연대 의장은 “회사가 노조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성과급 지급 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결과만 통보하고 있다”며 “성과급이 얼마나 어떻게 지급될지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SK하이닉스는 직원과 상생·화합하는 선진적인 노사관계를 보여주고 있다”며 “삼성도 이런 모델을 참고해 ‘삼성다운 지급률’을 통해 동기부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참여 계열사 13곳, 공동 행동 나서
이번 성과급 개선 요구에는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 삼성디스플레이 노조, 삼성SDI울산 노조, 전국삼성전자서비스 노조, 삼성생명 노조, 삼성생명서비스 노조, 삼성화재 노조, 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 노조, 삼성카드고객서비스 노조, 삼성웰스토리 노조, 삼성에스원참여 노조, 삼성엔지니어링 노조 &U(엔유) 등이 참여했다.

핵심 정리
1 삼성그룹노조연대가 성과급 제도 전면 개선 요구.
2 SK하이닉스처럼 영업이익 기준·상한 폐지 모델 도입 촉구.
3 현행 EVA 방식이 공정성과 예측 가능성 떨어뜨린다는 지적.
4 “삼성다운 지급률”을 통한 동기부여 필요성 강조.
5 삼성전자·삼성디스플레이·삼성SDI 등 13개 계열사 노조가 공동 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