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로 입국 허용해 주면 생긴다는 ‘한국’의 이것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 한국 관광업계에 새로운 기회
무비자 입국 정책의 주요 내용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국내·외 전담여행사가 모집한 3인 이상 중국 단체 관광객은 비자 없이 15일간 한국에 머물 수 있다. 제주도는 기존 방침대로 개별·단체 관광객 모두 30일 무비자가 유지된다. 정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내년 6월까지 약 100만 명 이상의 추가 중국 관광객이 유입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경절 효과와 관광객 증가 전망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10월 1∼7일)을 앞두고 관광객 증가 폭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방한 중국 관광객은 39만 2천 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의 69% 수준이었으나, 최근 회복세가 뚜렷해 올해 10월에는 더 큰 폭의 증가가 예상된다. 지난 7월 중국 관광객은 이미 60만 2천 명을 기록하며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효과가 점진적으로 나타날 가능성
무비자 시행 발표가 8월에 이뤄져 여행 계획을 세울 시간적 여유가 부족했던 만큼, 단기적으로는 즉각적인 폭발적 증가보다는 점진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내년 상반기에는 단체 여행 상품 예약이 본격화되며 정책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서비스업계의 준비 상황
면세점, 백화점, 편의점, 화장품 매장 등 유통업계는 중국인 관광객 유입에 맞춰 대규모 할인과 경품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중국어 가능 직원을 배치하고 결제 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데 힘쓰고 있으며, 호텔과 항공업계도 숙박과 항공편 증편 준비에 들어가 관광객 증가에 대비하고 있다.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칠 파급 효과
중국인 관광객의 소비는 쇼핑을 넘어 의료·미용·K컬처 체험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유통·서비스업뿐 아니라 병원, 미용실, 엔터테인먼트 업계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가 예상되며, 코로나19 이후 침체된 내수 경기와 고용 회복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핵심 정리
1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3인 이상 중국 단체 관광객 15일 무비자 입국 허용.
2 내년 6월까지 약 100만 명의 추가 관광객 유입 기대.
3 면세점·백화점·편의점 등 유통업계, 대규모 마케팅과 서비스 강화 중.
4 의료·미용·엔터테인먼트 등 K컬처 체험 산업까지 소비 확산 예상.
5 관광·유통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어 내수 회복에 기여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