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저릿저릿한 발등, 엄지발가락과 관련?…하이힐이 데려오는 ‘이 병’

머니투데이 머니투데이 조회수  

저릿저릿한 발등, 엄지발가락과 관련?…하이힐이 데려오는 '이 병'

가을은 걷기 좋은 계절로 친다. 그런데 걷다가 발등이 아프거나 발 앞쪽이 저릿한 증상이 느껴진다면 ‘이 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뭘까? 바로 전 세계 인구의 2~4%가 겪는다는 ‘무지외반증’이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검지발가락 쪽으로 휘는 질환으로, 주로 엄지발가락이 아프거나 튀어나온 뼈에서 통증이 느껴지는 증상을 수반한다. 하이힐을 즐겨 신을 때 무지외반증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런데 엄지발가락이 아닌, 다른 부위가 아플 수도 있다. 강북연세병원(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병원) 조준 원장은 “많은 환자가 엄지발가락이 아닌 발등이나 발 앞쪽 전체가 아픈 증상을 호소한다”며 “이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엑스레이를 찍어보길 권한다”고 말했다.

무지외반증인데 엄지발가락이 아닌 발등이 아픈 이유는 따로 있다. 발가락뼈 중에서는 엄지의 뼈가 가장 굵다. 그래서 걸을 때 엄지에 하중이 많이 실리는데, 무지외반증 탓에 뼈가 돌아가 있으면 엄지에 실려야 할 하중이 검지와 중지발가락에 실린다. 그래서 발 앞쪽 전체가 뻐근하고 저릿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조 원장은 “무지외반증이 있어서 발볼이 넓어지면 신발을 신었을 때 발가락 사이사이에 지나가는 신경이 눌리는 자간신경종이 동반된다”며 “발의 축이 무너지면서 관절에 무리가 가 발등에서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저릿저릿한 발등, 엄지발가락과 관련?…하이힐이 데려오는 '이 병'

무지외반증은 심하지 않으면 발가락 사이에 교정기를 착용하는 보조적 치료를 시행한다. 교정기를 사용한다고 해서 돌아간 뼈가 제자리로 돌아오는 건 아니고, 돌출된 부위를 평행하게 만들어 통증을 줄이는 목적이다. 발볼이 넓은 신발을 신어서 발이 꽉 끼지 않게 하는 방법도 있다. 만약 이러한 방법으로도 통증이 조절되지 않으면 수술이 필요하다. 조준 원장은 “무지외반증 수술은 뼈의 각도를 정상화하는 수술로, 튀어나온 부분만 깎는 게 아닌 재발하지 않도록 뼈를 안쪽으로 틀어서 교정하는 교정절골술을 시행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과거엔 교정절골술을 시행할 때 뼈 전체 축을 따라 다 교정해야 할 필요가 있어서 10~12㎝를 절개해야 했다. 뼈를 완전히 드러내는 상태에서 교정한 것이다. 이렇게 수술할 경우 뼈 모양 자체는 교정이 잘 되지만 수술 후 통증과 부기가 심하고 피부 손상이 컸다. 뼈가 붙는 속도가 느려 회복 기간이 긴 것도 단점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수술 효과는 높이면서 환자가 수술 후 겪는 통증을 줄이도록 관절 내시경 수술을 시행한다. 조준 원장은 “관절을 최소로 절개하기 때문에 피부 등 손상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고 말했다. 엄지발가락 부위 1㎝와 나사·핀이 들어갈 부위 1㎝ 두 곳만 절개해 수술을 진행한다. 절개 부위가 1㎝짜리 두 곳뿐이라 통증이 적다. 수술 후 2주부터 무지 보행이 가능하며 4주째부터는 어느 정도 자유롭게 걸을 수 있다.

조 원장은 “수술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무지외반증 치료를 미루는 사람이 많지만, 무지외반증은 계속 진행한다”며 “방치하면 다른 발가락의 부담이 커져 퇴행성 관절염, 지간신경종 등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치료받길 권한다”고 말했다. 다만 모양만 휘었을 뿐 별다른 증상 없을 때의 수술은 과잉 진료라는 게 조준 원장의 설명이다. 엄지·검지·중지발가락이나 발등에 통증이 있을 때 수술해야 만족도가 높다.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