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한국도 석유 나온다며” 탐사시추 강행했다가 쫄딱 망했다는 ‘이것’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조회수  


“한국도 석유 나온다며” 대왕고래 탐사시추, 결국 경제성 ‘제로’ 판정

? 동해 심해 ‘대왕고래’ 탐사, 결과는 참담

한국 최초의 대형 해양 가스전 후보지로 기대를 모았던 동해 8광구 ‘대왕고래’ 탐사시추가 결국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을 받았다. 당초 가스포화도가 50~7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지만, 실제 분석 결과는 6%에 불과했다. 경제성 기준치인 40%를 크게 밑돈 수치다.

산업부는 지난 2월 이미 “가스 흔적은 있지만 경제성이 낮다”고 발표했지만, 구체적 수치를 밝히지 않아 논란이 이어져왔다. 이번에 가스포화도 수치가 공개되면서 사실상 프로젝트는 첫 단추부터 실패로 돌아간 셈이다.


? 정밀 분석 결과 공개…‘열적 가스’ 대신 ‘부패 가스’

한국석유공사가 의뢰한 미국 코어랩의 정밀분석에 따르면 대왕고래에서 채취한 시료 1700여개는 예상보다 질이 떨어졌다. 무엇보다 핵심인 가스의 기원이 문제였다. 심부 근원암에서 생성된 열적 기원 가스가 아니라, 단순히 생물 부패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였던 것이다.

다만 지질학적 조건 자체는 나쁘지 않았다. 양질의 사암층이 형성돼 있었고, 가스를 가두는 덮개암 두께도 200m 이상으로 안정적이었다. 결국 석유·가스가 생성은 됐으나 이동하지 못해 빈 껍데기처럼 남았다는 게 결론이다.


? 수조 원 투입했지만 ‘빛 좋은 개살구’

동해 심해 시추는 윤석열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됐다. 그러나 첫 시추에서 실패하면서 예산 동력도 사실상 끊긴 상태다. 내년도 정부 예산에 관련 항목이 편성되지 않았고, 현재로서는 민간 투자 유치가 아니면 추가 시추가 불가능하다. 업계에서는 “자칫 프로젝트 자체가 좌초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이 나온다.


? 해외 사례와 비교…‘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

자원개발 업계는 실패에도 불구하고 “계속 뚫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브라질 가이아나의 리자 유전은 14번 시추 끝에 성공했고, 노르웨이 에코피스크 유전은 무려 33번 도전 끝에 발견됐다. 대왕고래 일대에도 아직 6개 유망구조가 남아 있어, 최소 5공 이상의 시추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그러나 민간 투자 없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 정치 변수와 사업 불확실성

문제는 정치적 환경이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로 추진됐던 사업인 만큼, 정권 교체 이후 사업 동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게다가 국제 에너지 시장은 재생에너지·수소 등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중이라, 석유·가스 탐사 자체에 대한 투자 매력도 줄어드는 상황이다. 결국 국내 에너지 안보와 경제성 사이에서 정책적 선택의 갈림길에 놓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 핵심 정리

  1. 대왕고래 시추 결과, **가스포화도 6%**로 경제성 ‘제로’ 판정
  2. 예상과 달리 ‘열적 기원 가스’가 아닌 ‘부패 가스’만 발견
  3. 수조 원 투입에도 내년도 정부 예산 편성 불발, 민간 투자 의존 불가피
  4. 해외는 수십 차례 시추 끝 성공 사례…국내는 추가 도전 불투명
  5. 정권 교체·에너지 전환 기조 탓에 프로젝트 자체 좌초 가능성 커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