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메모리 실적 외통수” 이재용 회장이 하반기에 새롭게 쓴다는 ‘이것’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나만 몰랐던 모든 이야기 조회수  


“메모리 실적 외통수” 이재용 회장이 하반기에 새롭게 쓴다는 ‘이것’

? 2분기 충격적인 어닝 쇼크

삼성전자가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영업이익이 4조6000억 원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55% 이상 급감했다. 매출도 74조 원으로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지만, 이익 측면에서는 6개 분기 만에 5조 원 이하로 추락했다. 그 중심에는 반도체 부문의 심각한 부진이 자리하고 있다.


? HBM 사업 지연, 재고만 쌓였다

삼성의 기대주였던 HBM3E 12단 제품이 엔비디아 품질 테스트에서 지연되면서 본격적인 매출로 이어지지 못했다. AI 반도체 시장의 80%를 장악한 엔비디아 공급망에 진입하지 못한 채, 오히려 재고만 늘어나 수익성을 악화시켰다는 평가다. 삼성은 1조 원 규모의 재고자산 평가손실 충당금까지 반영하며 실적 충격을 키웠다.


? 범용 메모리까지 가격 하락

범용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도 타격을 더했다. 글로벌 수요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공급 과잉과 가격 하락이 겹치면서 삼성은 반도체 전 부문에서 압박을 받았다. 특히 메모리 부문 영업이익은 작년 같은 기간 6조 원대에서 올해 1조 원 수준으로 추락했다.


? 하반기 반전 카드, HBM4

삼성은 하반기 차세대 HBM4로 판세 뒤집기를 노린다. 7월부터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에 샘플 공급을 시작했고, 연말까지 본격 양산 체제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HBM4는 10나노급 6세대 D램 공정을 적용해 전력 효율과 데이터 처리 속도를 대폭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 SK하이닉스와의 격차 좁힐 수 있을까

현재 HBM 시장은 SK하이닉스가 점유율 50% 이상으로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삼성은 33년 만에 D램 시장 1위 자리도 내준 상황이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내년 엔비디아의 신제품 ‘루빈’에 들어갈 HBM4 수주전이 삼성의 사실상 마지막 승부처가 될 것으로 본다.


? 평택4공장·조직 개편으로 총력전

삼성은 평택4공장에 D램 신규 라인을 구축해 범용 D램과 HBM4를 동시에 양산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 중이다. 동시에 HBM 전담 조직을 강화하고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구조 개편을 단행하며 기술 격차를 따라잡기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다. 이는 이재용 회장이 강조해온 ‘세상에 없는 기술’ 철학과도 맞닿아 있다.


? 핵심 정리

1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4조6000억 원…55% 급감
2 HBM3E 납품 지연으로 매출 부진·재고 증가
3 범용 D램·낸드 가격 하락이 추가 타격
4 하반기 반전 카드로 HBM4 출시 및 양산 준비
5 SK하이닉스 점유율 압도적…삼성의 위기감 고조
6 평택4공장·HBM 전담 조직으로 경쟁력 강화 추진
7 HBM4 성공 여부가 하반기 실적 반등의 최대 관건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